본문 바로가기

HEC Culture

[HEC Culture] 재활용품도 당근이 될까요? (w. 현대엔지니어링)

 

 

안녕하세요, 에디터H입니다! 👋

 

만약 빈 페트병을 당근에 팔 수 있다면,

지금보다 더 열심히 분리수거 하시겠어요?

 

오늘은 우리가 몰랐던 ‘분리수거의 진짜 보상 시스템’을

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~

 

 

 

 


 

잘 버리면, 지구가 보답합니다🌍💚

 

빈 페트병을 당근에 팔 수는 없어요.

하지만 잘 씻어서, 뚜껑 떼고, 라벨도 벗긴 페트병 100개가 모이면

휘발유 한 병(1.2L) 만큼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대요.

🚗 자동차 한 번 시동 걸 힘을 만드는 거죠.

 

깨진 유리병도 마찬가지.

제대로 버리면,

🏖️ 모래와 석회석을 덜 캐도 되고,

🌫️ 미세먼지를 줄이고,

🏭 심지어 공장 에너지까지 아낄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우리가 잘 버릴수록, 지구는 더 많은 보상을 줍니다.

 

🌲 나무도 살고,

💧 물과 전기도 절약되고,

🌡️ 더워지는 지구도 조금은 식어가죠.

 

그리고 가장 놀라운 보상은,

그 변화가 아주 조용하게, 우리 삶에 스며든다는 것. ✨

 

오늘 마신 ☕ 커피 한 잔보다,

조금 더 푸른 하늘

맑은 공기

더 오랫동안 우리를 기분 좋게 해줄지도 몰라요.

 

 

 

🌬️ 종이 한 장으로 지키는 숨 쉴 권리

 

 

 

종이 1톤을 재활용하면

🌲 30년생 나무 약 20그루를 살릴 수 있어요.

💦 전기와 물도 최대 70% 절약되고요.

 

특히 30년생 나무 한 그루는

서울-부산 5번 왕복하는 자동차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요.

 

나무 한 그루가 ‘우리가 숨 쉴 권리’를 지켜주는 셈이죠.

 

종이를 잘 재활용하면

매일 나무를 심는 것과 다를 바 없어요.

오늘도 내일도 식목일이 되는 거죠! 🌱

 

 

🔌 플라스틱으로 전기 스위치 온!

 

 

플라스틱 1톤을 재활용하면

🚗 휘발유 약 600L가 절약 (서울-부산 왕복 6회 분량) 되고

💡 5,774kWh 전기(4인 가족 한 달치 사용량)도 절약돼요.

 

🏠 게다가 매립 공간도 줄어들어요.

1톤의 플라스틱은 방 하나만큼의 공간

(가로·세로 3m, 높이 2.5m 정도의 부피)을 차지하거든요.

 

 

2050년, 바다에 플라스틱이 물고기보다 많아질 수 있다는데요.

📦 플라스틱 재활용률이 1%만 높아져도

앞으로 20년간 ‘150만 톤’의 플라스틱이

바다로 흘러드는 걸 막을 수 있어요.

 

플라스틱을 입에 물고 있는 바다거북. 🐢

더 이상 보면 안 되잖아요.

 

🚮 플라스틱, 잘 버리면 에너지가 되고 못 버리면 재앙이 됩니다.

 

 

⛏️ 캔 하나로 지키는 광산 하나

 

텅 빈 캔 하나.

 

대충 버리면 그냥 금속 쓰레기지만,

깨끗하게 비워 잘 분리하면 광산 하나를 지킬 수 있어요.

 

🔧 고철을 재활용하면

💧 물 사용량을 40% 아끼고

🔺 광산 폐기물도 97% 줄어요.

 

 

우리나라의 알루미늄과 철강은

대부분 외국에서 들여오는 자원이에요.

 

그래서 우리가 잘 재활용할수록,

멀리서 힘들게 캐오지 않아도 되죠.

그만큼 지구도, 자연도 덜 상처받고요.

 

캔 하나를 잘 버리면

산 하나를 지키게 될지도 모릅니다.

 

 

💨 유리병 하나로 공기를 상쾌하게

 

 

유리는 무한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에요.

 

하지만 뚜껑을 안 떼거나 내용물이 남으면

그건 그냥 폐기물일 뿐이죠.

 

 

유리 생산 과정에서

 

🔋 재활용 유리 10%를 사용하면

공장이 에너지를 3% 덜 쓸 수 있대요.

 

🧰 유리 6톤을 재활용하면

이산화탄소가 1톤 줄고요.

 

🌫️ 미세먼지, 질소산화물, 황산화물도

줄어든다는 사실!

 

공장의 연기, 도시의 공기,

그 무게를 덜어주는 게 바로 유리병 하나일 수 있어요.

 

💥 맑은 하늘, 그 시작은 내가 비운 병 하나에서 비롯될 거예요.

 

 

우리가 매일 버리는 종이, 플라스틱, 캔, 유리.

그건 쓰레기가 아니라, ‘지구가 다시 쓰고 싶은 자원’이에요.

 

잘 버리는 것만으로도

 

🌳 나무 수십 그루가 살고

💡 한 달치 전기가 절약되고

🌊 바다 속 플라스틱을 막을 수 있죠.

 

지구가 웃어야, 지구 위 우리도 웃게 되지 않을까요?😊

 

 

그렇다면, ‘어떻게’ 잘 버릴 수 있을까요?

이제부터 하나씩, 정확하게 버리는 법을 알려드릴게요.

 

 

분리수거 기호들, 한눈에 보고 갈까요?

 

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칠 수 있는 분리수거 기호들 한눈에 살펴보아요.

 

 

뭔가 이미 익숙한 듯하지만, 조금 헷갈리는 분리수거 기호들.

걱정 마세요! 환경특공대가

재질별 분리수거 방법들을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! 다음편을 많.관.부

 


 

 

분리수거는

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

가장 확실한 지구 사랑입니다!

 

다음 편은 어떤 이야기가 펼쳐지나고요?

힌트는 “유명 개그맨 장동민의 특허 소식”과 관련 있어요!

 

 

 

궁금하다면? 다음 >영상<을 클릭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