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HEC Culture

[HEC Culture] 플라스틱 재활용, 우리 아이가 물어본다면? (w. 현대엔지니어링)

 

 

안녕하세요, 에디터H입니다! 👋

 

“엄마, 이렇게 버리는 거 맞아?”

우리 아이가 물어온다면, 뭐라고 답하시겠어요?

(1탄 보기)

 

헷갈리기 쉬운 플라스틱 분리수거

아이에게 알려주듯

정말 쉽게 알려드릴게요!

 

 

 

 


 

🎤 개그맨 ‘장동민’이 박수를 받을 수밖에 없던 이유?

 

지난 콘텐츠에서 예고했던,

개그맨 장동민 씨가 특허를 냈다는 소식, 기억나시나요?

 

개그맨 장동민 특허 상용화 소식 / 출처: ytn

 

페트병 뚜껑을 열기만 하면 톡! 하고

라벨이 자동으로 분리되는 구조예요.

 

놀랍게도 이 아이디어가 실제로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해요!

👏 “우와~ 유명인이 이런 거까지?” 놀랍죠?

 

그런데 진짜 감탄한 이유는요.

바로 우리가 자주 불편했던 문제를, 정말 똑똑하게 해결했다는 점이에요.

 

🗯️ “투명 페트병에서 라벨은 꼭 떼서 버려야 돼!”

이제 우리 아이에게도 꼭 알려주세요.

왜냐하면 투명 페트병은 재활용이 정말 잘 되는 재질이거든요.

그런데 라벨이 붙어 있는 채로 들어오면...

 

♻️ 기계가 라벨을 이물질로 인식해요

🌫️ 다른 재질이 섞이면 투명도가 떨어져요

❌ 그래서 아예 전체가 재활용이 안 되고 폐기될 수도 있어요!

👉 라벨 하나 때문에 버려지는 페트병, 너무 아깝죠?

 

👧 Q. “투명한 플라스틱은 다 투명 페트병 전용 수거함에 넣으면 되죠?”

 

안 돼요!

 

 

생수, 음료가 들어 있었던 투명 페트병만 해당돼요!

식용유, 물엿, 세제통 같은 건 아무리 투명해도

일반 플라스틱 수거함에 넣어야 해요.

 

왜냐하면 이런 제품은 내용물의 성분이 병 안에 남아 있어서,

재활용 과정에서 깨끗하게 처리되기 어렵기 때문이에요.

 

그러니 이렇게 기억해요!

🧼 비우고 → 💧 헹구고 → 🧴 뚜껑 분리하고 → ♻️ 올바른 수거함에!

 

페트병의 뚜껑플라스틱 수거함으로 보내주세요!

 

👧 Q. 플라스틱은 다 재활용되죠?

 

아니요. 그렇지 않아요!

 

모든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건 아니에요.

재질에 따라 어떤 건 잘 재활용되고, 어떤 건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해요.

 

 

♻️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들

 

🧴 PET (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)

 

→ 투명한 생수, 음료 페트병. 깨끗이 헹구면 다시 병이나 옷감으로 변신!

→ 색이 있는 페트병은 재활용이 가능하기는 하지만,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투명한 병을 써요.

 

 

🧼 HDPE (고밀도 폴리에틸렌)

 

샴푸통, 세제통, 페트병 뚜껑, 전자레인지 용기 등에 쓰여요.

→ 단단해서 쉽게 망가지지 않아요. 잘 버리면 산업 부품 등 새로운 물건으로 다시 만들 수 있어요.

 

 

🛍️ LDPE (저밀도 폴리에틸렌)

 

소스 용기, 비닐봉투, 투명 장갑, 포장지에 자주 등장!

→ 깨끗하면 산업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지만, 너무 얇고 가벼워서 실제론 많이 버려지는 아쉬운 친구예요.

→ 필름처럼 얇은 건 ‘비닐류’로 따로 분리수거해요.

 

 

🍱 PP (폴리프로필렌)

 

→ 배달음식 용기, 전자레인지 용기, 세안 대야, 빨래집게, 일회용 컵 뚜껑 등!

열에 강하고 안전해서 아주 다양한 곳에 쓰여요. 빨래 바구니 같은 플라스틱 제품이나, 자동차 부품으로 재활용 가능해요.

→ 기름기 닦아내고 헹구면 재활용 OK!

 

 

🥄 PS (폴리스티렌)

 

일회용 수저, 요구르트 병, 도시락 용기 등에 사용해요.

→ 깔끔하게 세척하면 단열재, 플라스틱 옷걸이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지만, 열에 약하고 환경호르몬 걱정도 있어서 적게 쓰는 게 좋아요.

 

 

🚫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들

 

⛔ PVC (폴리염화비닐)

 

호스, 장판, 카드, 인조가죽 등에 많이 사용돼요.

태우면 몸에 해로운 물질이 나와서 재활용이 어려워요.

→ 2019년부터는 우리나라에서 사용이 금지됐고, 꼭 필요한 경우만 사용 중이에요.

 

 

⚠️ OTHER (기타 복합 플라스틱)

 

즉석밥 용기, 렌즈, 안경테, 특수병

→ 여러 재질이 섞여 있어서 기계가 분리하기 어렵기 때문에

일반 쓰레기로 버려요.

 

👧 Q. 플라스틱 빨대, 재활용할 수 있어요?

 

아쉽게도, 안 돼요!

 

빨대는 너무 작고 가벼워서 분리 기계에서 걸러지지 않아요.

그리고 음료가 묻으면 오염되기 쉬워서

다른 재활용품도 망칠 수 있어요.

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해요.

 

대신 요즘은 🥄 종이 빨대나

🧊 스테인리스 빨대, 쌀 빨대 같은 대체 제품이 많아졌답니다!

 

📍 재활용 마크(삼각형 안 글자)는

보통 제품의 바닥이나 측면 하단 구석에 있어요!

 

 

이 글자를 보면 어떤 재질인지 확인할 수 있죠.

 

 

🧩 헷갈릴 땐, 이 카드 한 장으로 정리! 프린트해서 분리수거함 근처에 붙여두면 참 좋아요 😊

 

 

플라스틱은 알고 보면 버리는 게 제일 어려워요.

 

그렇지만 우리가 한 번 더 신경 쓴다면,

기름도, 전기도, 바다도 지킬 수 있다는 사실!

‘잘 버리는 습관’으로 함께 지구를 지켜볼까요?

환경특공대, 다음 편에서 다시 출동합니다! 🌿

 


 

 

제대로! 공부가 되는 중!? :)